[뉴스큐브] 신규확진 382명…2분기 백신 접종 계획 발표<br /><br /><br />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일주일 만에 300명대로 줄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검사 건수가 적은 휴일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, 확산세가 진정된 것으로 보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정부는 잠시 후 2분기 일반국민 대상 백신 접종계획을 발표합니다.<br /><br />관련 내용 김윤 서울대 의대 의료관리학과 교수와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백신 접종이 다음 달부터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대규모로 진행됩니다. 정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2분기 백신 접종 계획을 발표하는데요. 일단 75세 이상이 가장 먼저 접종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인데, 우선 접종 대상으로 누가 포함돼야 한다고 보세요?<br /><br /> 정부는 올 상반기까지 1천200만 명을 대상으로 백신 1차 접종을 마친다는 목표로, 아스트라네제카 백신의 2차 접종분을 먼저 활용한다는 계획입니다. 면역 형성을 위해 두 차례 접종이 필요한 만큼 백신 수급이 원활하게 돼야 할텐데요. 수급 상황은 어떻습니까?<br /><br /> 당국은 백신 접종 후 휴식 기간을 두는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. 백신 접종 후 이상 반응 신고가 잇따르면서 적절한 휴식이 필요하다는 판단 때문인데요. 경미한 증상으로 응급실 내원이 늘고 있다는 점도 고려한 것으로 봐야겠죠?<br /><br /> 백신 부작용을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지만, 아나필락시스 등 심각한 이상 반응을 일으킨 사례는 극히 드물다는 연구결과가 속속 발표되고 있습니다. 미국에서 화이자, 모더나 백신 접종 후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겪은 사례는 0.025%에 불과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는데, 일반 항생제와 비교하면 어떤가요?<br /><br />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후 발생한 사망 사고를 이유로 일부 유럽국가들이 잠정 사용 중단을 발표했습니다. 혈전 부작용 우려 때문이라면서요? 구체적으로 어떤 얘기인가요?<br /><br /> 정부는 같은 일련번호의 백신이 수입되지 않았고, 국내 혈전 부작용 신고는 없다고 밝혔습니다. 세계보건기구도 백신 계속 사용을 권고했는데요. 실제로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혈전 간 인과관계가 성립되지 않았죠?<br /><br /> 오늘부터 2주간 적용되는 거리두기는 수도권 2단계, 비수도권 1.5단계입니다. 5인 이상 사적 모임 금지 지침은 다소 완화됐는데요. 최근 확산세를 고려할 때 이 같은 완화 조치가 풍선 효과를 낳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. 어떻게 보세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